목회자의 방/영감있는 글 70

<우리에게는 믿음이 있다>, 89쪽

물론 우리도 딸의 결혼식, 월급 인상, 에밀리 산데 콘서트, 고급스러운 음식과 와인 등을 즐길 수 있다. 이것은 모두 우리의 자비로우신 창조주, 사랑이 많으신 하늘 아버지께서 주신 놀라운 선물이다. 그러나 그것들이 우리의 목표는 아니다. 우리가 설령 그것들을 가질 수 없다 해도 무너지지 않는다.  아브라함의 믿음은 우리가 이 세상과 이 세상의 가치에 대해 이방인으로 머물러야 한다고 상기시킨다. 우리는 우리의 국가, 도시, 공동체의 번영과 안녕을 추구해야 한다. 그러나 여기가 우리의 집이 아님을 아브라함은 상기시켜 준다. 우리는 천국의 시민이자 이 세상의 이방인이다.

<우리에게는 믿음이 있다>, 85.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사람들은 편안하게 살고 싶어 하고, 소속감을 느끼도록 주변과 어울리며 살고 싶어 한다. 1983년 영화인 젤리그(Zelig. 망신당한 천재 우디 앨런이 주연하고 제작한 영화)는 주변 사람의 모습에 맞춰 자신의 모습을 변형시킬 수 있는 정체불명의 남자를 보여 준다. 먼저 파티가 열린 곳에서 그는 세련된 보스톤 억양으로 여러 손님들과 담소를 나누며 공화당을 지지한다. 그러나 주방에서는 가진 억양을 써가며 하인들과 민주당을 지지하는 듯하다. 그래서 그는 곧 '인간 카멜레온‘ 이라는 국제적인 명성을 얻는다.  이 영화는 편안하고 싶고 어딘가에 소속되고 싶은 인간의 절실한 마음을 고찰하고 있다. 내가 앞서 언급했듯이 그리스도인들은 젤리그라는 인물처럼 인간 카멜레온이 되고 싶은 압박을 느낀다..

<주님은 나의 최고봉> 중에서

진정 주께서 맡기신 의무라면, 자신의 만족을 위해 수고할 것이 아니라 오직 겸손과 온유한 마음으로 섬겨야 할 것입니다. 우리는 달갑지 않은 것은 뭐든지 지겨운 의무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영이 우리 속에서 말씀하실 때는 "나는 주의 뜻을 행함으로 기쁩니다. 오 나의 하나님"(시40:8)이라고 고백하게 됩니다.  1월 29일 내용